디지털세 2

디지털 서비스세 논의에 대한 소고

경제구조가 급격히 디지털화, 무형화되면서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디지털 서비스세 논란이다. 기존의 과세제도는 실체가 있고 거래가 파악되는 상황에서 세금부과가 가능한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디지털 경제에서 전자 상거래의 경우 세원 포착과 과세점 파악이 쉽지 않다. 또한, 국가 간 디지털 거래는 국가마다 세법과 세율이 다르므로 과세권 문제가 발생한다. 유럽연합(EU) 회원국들 중 특히 룩셈부르크(24.9%), 헝가리(9%), 네덜란드(25%) 등 일부 국가들이 법인세율을 낮춰 다국적기업 유치경쟁을 벌이는 것을 막고자 EU 차원의 독자적 디지털 서비스세를 도입하려 했다. EU 일반재판소는 지난 5월 15일 디지털 서비스세와 관련해서 아마존에 2억5000만 유로(약 3,412억원)의 체납 ..

바이든의 통상정책 vs EU 통상정책 한국에의 시사점

바이든의 통상정책은 보호무역을 표방했던 트럼프 행정부에의 그것과는 차별된다. 이러한 바이든 행정부의 통상정책은 적극적 자유무역-소극적 보호무역의 스펙트럼에서는 적극적 자유무역 노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자유주의 이론에 기초한 경제 영역에서 트럼프 행정부에서의 고립주의를 벗어나 적극적인 자유무역 질서를 회복할 것을 천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국외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기회를 찾고 미국의 국익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그가 무조건적 자유무역질서 확대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과거 상원의원으로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중국의 WTO 가입에 찬성하였다. 그러나 노동자의 권리와 환경보호에 취약할 것으로 여겨지는 미-페루 무역협정에는 반대표를 ..

통상 202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