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기사 및 컬럼

비대면시대 통일교육의 필요성

EU정책연구소 원장 Ph.D Lee JongSue 2021. 10. 4. 15:21

 

바야흐로 정치의 계절이 돌아왔다. 내년 3월로 예정된 대선을 앞두고 아직까지 여야 모든 후보자가 코로나 19 확산으로 망가진 민생 경제회복에만 모든 것을 집중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여야 후보자 모두 남북 화해와 통일의 필요성은 인정하는 것 같으나 구체적 통일 방안을 제시한 후보는 눈에 띄지 않는다.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우리의 생활은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다. 비대면은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의 발전을 앞당기는 효과도 있지만 교육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향상을 담보하진 않는다. 특히 대학이 지역 사회의 통일교육을 지원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연구와 교육적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없게 되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통일교육은 통일을 위한 역량을 배양함으로써 남북한의 민주적 평화적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교육의 목표는 남북통일을 지향하는 의식을 갖게 하고, 이를 위해서 북한과 통일문제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며, 통일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있다. 한국의 대학생들의 경우 통일이 개인의 삶과 어떻게 연관된 것인가를 성찰할 수 있는 반성적 사고가 결여되어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북한이탈주민 등 사회적 소수계층에 대해 낮은 수용도를 보이고 있다. 중립화통일론이 됐든 새로운 대안적 통일담론이 됐든 모든 통일 방안은 남북한 국민이 신뢰관계를 회복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아야만 한다. 즉 통일의 모든 방안은 반드시 상향식이어야만 한다.

 

통일교육은 남북한 통일문제를 실리적 계산이나 유용성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 당위로서의 통일에 대한 강조보다는 미래에 대한 비전의 공유에 기초한 통일논의가 중요하다.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대학이 지닌 본연의 연구 기능을 회복함으로써 통일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풍부한 교육적 자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대학이 북한 및 통일문제에 대한 연구와 교육의 중추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가운데 지역 사회 내의 내용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남북한 통합 과정이나 통합 이후에 제기될 수 있는 사회 문제들을 합리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된다. EU의 경우 통합에 접근은 과연 EU가 나의 삶과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로부터 시작되었다.

 

유럽통합은 단기적으로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정치공동체를 건설하는 대형프로젝트이다. 이러한 정치 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문화적 동질성을 만들어가는 것이 통합의 핵심과제이다. , 유럽정체성 교육은 EU의 시민 및 학생들은 교육을 통해 자신을 점차 유럽인으로써 인식하게 됨으로써 국가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유럽정체성을 내면화하게 만드는 것이다. 한반도 통일의 실현은 우리 모두에게 엄청난 전환의 비용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의 대학생들은 남북한 통일이 분단 상태보다 더 나은 물질적 이익과 복지 수준을 보장해 준다고 할지라도, 통일 과정에서 부담하게 될 전환의 비용을 고려한다면 통일보다는 현 상태의 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 일반 국민도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남북한 통일에 따른 장기적인 미래의 이익을 믿고 있다고 하더라도, 통일로 가는 과정에 수반될 수 있는 단기적인 불편과 부담, 손실을 기꺼이 감수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비대면시대 통일교육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남북한 통일문제를 실리적 계산이나 유용성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 당위로서의 통일에 대한 강조보다는 미래에 대한 비전의 공유에 기초한 통일논의가 중요하다.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대학이 지닌 본연의 연구 기능을 회복함으로써 통일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풍부한 교육적 자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 사회의 통일교육을 지원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도 대학이 통일교육을 위한 연구와 교육적 기반을 튼튼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2) Unification Education Council - Washington 통일교육자문위원 워싱턴협의회 | Facebook